세상엔 본질보다 부풀려진 것들이 많고, 반대로 평가절하된 것들도 많다. 전자는 인간이 만들어낸 것(상품 등)인 경우가 많고, 후자는 자연 그 자체, 혹은 자연이 만들어낸 것인 경우가 많다. 후자의 예로 벌이 대표적이다.
초등학교때 소풍 갔다가 벌에 한번 쏘이고부터는 벌은 기피대상 1호다. 위윙~~소리만 들어도 무섭다. 밭에 가서도 벌 소리만 들으면 신경이 곤두선다. 그렇게 기피대상 1호인 벌이 전세계적으로 사라지고 있다. 벌을 무서워하지만 이 소문이 반가울 수가 없다. 우리가 먹는 음식의 80%는 거의 화분매개에 의존하기 때문에 벌의 감소는 세계 식량 생산량 감소와 식량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진다면 인간의 수명은 4년 안에 인간도 멸종할 것이다"라고 경고한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꿀벌 감소현상은 2006년 미국과 유럽에서 주로 시작해서 전 세계로 퍼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서식 벌 가운데 4개 종의 개체수가 1990년에 비해 96%나 감소했고, 영국은 전체 25개 종 가운데 1970년 이후 3개 종 멸종, 11개 종은 70%가 감소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토종벌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원인으로는 서식지 파괴, 공기 오염, 해충 공격, 살충제 살포, 소음, 전자파 발생, 지구 온난화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원인으로 꼽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해결책은 딱히 없는 상황이다.
그런 가운데 뉴욕 한 가운데서 벌을 키우는 사람들이 있어 화제다. 도시에서 벌을 키우는 것이 한동안 불법이었다. 그래도 벌을 키우는 사람들을 막을 수는 없었고, 최근에 금지법이 해제됐다. (뉴욕은 참 재밌는 도시!!!) 도시에서 벌을 키우는 것은 단순히 수분을 촉진시키고 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집은 아이들에게 먹거리와 꿀벌의 가치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벌을 키우는 일은 상상도 할 수 없던 일이지만, 도시농업을 하고 있는 우리도 언젠가 시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불쑥 들었다. 큰일이다. 하고 싶은 게 많아서...^^
초등학교때 소풍 갔다가 벌에 한번 쏘이고부터는 벌은 기피대상 1호다. 위윙~~소리만 들어도 무섭다. 밭에 가서도 벌 소리만 들으면 신경이 곤두선다. 그렇게 기피대상 1호인 벌이 전세계적으로 사라지고 있다. 벌을 무서워하지만 이 소문이 반가울 수가 없다. 우리가 먹는 음식의 80%는 거의 화분매개에 의존하기 때문에 벌의 감소는 세계 식량 생산량 감소와 식량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진다면 인간의 수명은 4년 안에 인간도 멸종할 것이다"라고 경고한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꿀벌 감소현상은 2006년 미국과 유럽에서 주로 시작해서 전 세계로 퍼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서식 벌 가운데 4개 종의 개체수가 1990년에 비해 96%나 감소했고, 영국은 전체 25개 종 가운데 1970년 이후 3개 종 멸종, 11개 종은 70%가 감소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토종벌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원인으로는 서식지 파괴, 공기 오염, 해충 공격, 살충제 살포, 소음, 전자파 발생, 지구 온난화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원인으로 꼽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해결책은 딱히 없는 상황이다.
그런 가운데 뉴욕 한 가운데서 벌을 키우는 사람들이 있어 화제다. 도시에서 벌을 키우는 것이 한동안 불법이었다. 그래도 벌을 키우는 사람들을 막을 수는 없었고, 최근에 금지법이 해제됐다. (뉴욕은 참 재밌는 도시!!!) 도시에서 벌을 키우는 것은 단순히 수분을 촉진시키고 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집은 아이들에게 먹거리와 꿀벌의 가치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벌을 키우는 일은 상상도 할 수 없던 일이지만, 도시농업을 하고 있는 우리도 언젠가 시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불쑥 들었다. 큰일이다. 하고 싶은 게 많아서...^^
'지구촌 에코살롱 > 食/농사, 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 시내 한 가운데서 벌 키우는 디자이너 (1) | 2011.06.19 |
---|---|
런던올림픽이 죽어가는 꿀벌들을 살릴까? (0) | 2011.06.17 |
뉴욕 한 가운데서 벌을 키우는 사람들 (4) | 2011.06.15 |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의 새로운 도전은 도살!!! (0) | 2011.05.30 |
1종 면허와 2종 면허의 차이 (0) | 2011.05.17 |
버리기에는 너무 훌륭한...것들(2) 시들어버린 상추와 레몬 (0) | 2011.05.07 |
TAG beekeeping,
ccd,
Colony Collapse Disorder,
꿀벌,
꿀벌 감소현상,
꿀벌의 경고,
뉴욕에서 벌 키우기,
도시농업,
도시에서 벌 키우기,
벌집,
수분,
수분 촉진,
아인슈타인,
양봉,
토종벌,
화분매개
댓글을 달아 주세요
ㅎㅎㅎ 2011.06.15 16:3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꿀벌이 그렇게 소중한 존재인줄 몰랐어요. 침만 없으면 예뻐해줄거인데...아쉽네요...
저도 요즘 새삼 배워가고 있어요. 꿀벌은 자기를 위협하지 않는 이상 공격하지 않는다고 해요. 벌을 만나면 가만히 있으면 됩니다.^^
쓸ㅋㅋ 2011.06.16 09:43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뉴욕 한복판에서 사람과 공존하던 꿀벌대소동의 벌들이 생각나네요^^
유재석이 더빙했던...ㅋㅋㅋ
맞아...꿀 먹었으면 꿀값 해야줘...^^